-
목차
반응형산업 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다. 특히 화학물질, 분진, 유해가스, 강한 충격 등의 위험 요소로부터 눈과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보안경 및 안면보호구, 방진마스크 및 방독마스크의 착용이 중요하다. 이 보호구들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착용 의무가 규정되어 있으며,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산업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.
아래에서 보안경 및 안면보호구, 방진마스크 및 방독마스크의 세부 규정과 착용 기준을 살펴보자.
1. 보안경 및 안면보호구
보안경과 안면보호구는 눈과 얼굴을 보호하는 중요한 개인 보호구다. 화학물질, 강한 빛, 파편 등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,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이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.
(1) 관련 법규 및 착용 의무
-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(보호구 지급 및 착용 의무):
- 사업주는 근로자가 보호구를 올바르게 착용할 수 있도록 지급 및 교육해야 한다.
- 근로자는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, 착용하지 않을 경우 처벌받을 수 있다.
-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6조(보안경 및 안면보호구 착용 기준):
- 유해 광선, 강한 빛, 분진, 유해 물질이 튀는 작업장에서 근로자는 반드시 보안경 및 안면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.
(2) 보안경 및 안면보호구의 종류와 사용 기준
보호구 종류특징 및 기능적용 작업
일반 보안경 눈 보호, 가벼운 충격 방지 목공, 금속가공 방진 보안경 미세먼지 및 입자 차단 분진이 많은 제조업 화학 보안경 액체 및 화학물질 보호 실험실, 화학공장 레이저 보호경 유해 광선 차단 레이저 가공, 용접 안면보호구 전체 얼굴 보호, 비산물 방지 고온 작업, 용접, 연삭 작업 (3) 올바른 착용 및 관리 방법
- 얼굴에 밀착되도록 착용: 틈이 생기면 보호 기능이 저하된다.
- 깨끗한 상태 유지: 오염된 렌즈는 시야를 방해하고 사고 위험을 높인다.
- 파손 여부 점검: 균열이나 손상이 있는 보호구는 즉시 교체해야 한다.
- 보관 시 습기와 고온을 피함: 고온, 습한 곳에서는 보호구가 변형될 수 있다.
(4) 보안경 및 안면보호구 미착용 시 과태료
- 사업주가 보호구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: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
- 근로자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: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
2. 방진마스크 및 방독마스크
방진마스크와 방독마스크는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다. 건설 현장, 제철소, 화학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, 유해가스, 화학물질을 차단하는 데 필수적이다.
(1) 관련 법규 및 착용 의무
-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: 사업주는 근로자가 작업 중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마스크를 지급해야 한다.
-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7조(방진마스크 및 방독마스크 착용 기준):
- 분진, 유해가스, 증기 등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반드시 적절한 방진마스크 또는 방독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.
(2) 방진마스크 및 방독마스크의 종류와 사용 기준
마스크 종류특징 및 기능적용 작업
1급 방진마스크 초미세먼지 및 유해 입자 99% 차단 석면 제거, 광산 작업 2급 방진마스크 미세먼지 및 일반적인 분진 차단 목공, 금속가공 3급 방진마스크 일반 먼지 차단 단순 청소 작업 일반 방독마스크 유해가스, 화학물질 차단 화학 공장, 도장 작업 특수 방독마스크 특정 유해가스 차단 (예: 염소, 암모니아) 정유 공장, 실험실 (3) 올바른 착용 및 관리 방법
- 코와 턱을 완전히 덮어 밀착: 틈이 있으면 유해물질이 들어올 수 있다.
- 정기적으로 필터 교체: 방진마스크와 방독마스크의 필터는 사용 시간이 지나면 교체해야 한다.
- 사용 후 깨끗이 보관: 오염된 상태로 보관하면 보호 기능이 저하된다.
-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지 않기: 습기는 마스크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.
(4) 방진마스크 및 방독마스크 미착용 시 과태료
- 사업주가 보호구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: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
- 근로자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: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
3. 결론
보안경 및 안면보호구, 방진마스크 및 방독마스크는 근로자의 눈과 호흡기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구다. 사업주는 근로자가 적절한 보호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지급하고, 올바르게 사용하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.
근로자 역시 보호구 착용을 소홀히 하면 자신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. 안전한 작업 환경은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. 올바른 보호구 착용 습관을 통해 안전한 근로 환경을 만들어가자! 💪🔥
반응형'산업안전보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호흡기 질환과 예방대책 (0) 2025.03.12 청력보존프로그램이란? 사업장에서 반드시 시행해야 하는 이유 (0) 2025.03.12 안전모 및 안전화 세부 규정 (0) 2025.03.10 근로자의 보호구 착용 의무와 올바른 사용 방법 (0) 2025.03.10 작업환경측정에서 소음 측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 (0) 2025.03.09 -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(보호구 지급 및 착용 의무)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