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목차
“누가 무엇을 책임지고 관리해야 할까?”
산업현장에서의 안전은 정확한 역할 분담에서 시작됩니다.
📌 목차
1. 안전보건관리책임자란 누구인가?
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업주를 대신하여 작업장의 안전보건을 총괄 관리하는 자입니다.
대부분 부서장 또는 고위 관리자급 인력이 지정됩니다.주요 역할
- 안전보건관리 조직 구성
- 위험성 평가 및 개선 대책 수립
- 법정 교육 이수 관리
- 유해·위험 기계 점검 및 보수
지정 대상
-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장
-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 20억 원 이상인 현장
✅ TIP: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선임 후 1개월 이내 교육 이수가 필수입니다.
2. 관리감독자란? 현장 실무의 핵심
관리감독자는 말 그대로 작업현장의 안전을 감독하는 실무 관리자입니다.
현장 작업자들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위험을 통제합니다.주요 역할
- 작업 전 위험요소 점검
- 근로자에게 작업 전 안전 지시
- 신규 근로자에게 채용시 교육 실시
- 보호구 착용 및 작업절차 준수 여부 확인
지정 대상
- 각 부서 또는 작업반의 장(반장, 조장 등)
📌 주의사항: 관리감독자는 **직무교육(16시간)**을 이수해야 하며, 신규지정 시 1개월 이내 교육 필수입니다.
3. 안전보건총괄책임자와 안전보건조정자의 차이
🏗️ 안전보건총괄책임자
- 주로 건설업 및 제조업의 다수 도급 사업장에서 지정됩니다.
-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일하는 대규모 사업장에서의 안전을 총괄합니다.
주요 역할
- 작업 간 충돌방지 계획 수립
- 전체 공정 안전관리 계획 조정
- 도급인, 수급인 간 안전보건 협의체 운영
🛠️ 안전보건조정자
- 건설업 중 고위험 작업이 병행되는 경우 지정
- 안전보건총괄책임자와 협력하여 작업 간 조정을 주도합니다.
🔍 차이점 정리: 총괄책임자는 전체 사업장의 안전계획 총지휘, 조정자는 작업 간 위험 충돌 조정이 핵심입니다.
4. 한눈에 보는 역할별 비교표
구분지정 대상주요 역할필수 교육비고안전보건관리책임자 50인 이상 사업장 전사 안전보건 관리 O (연간 직무교육) 경영진급 관리감독자 현장 단위 책임자 작업장 안전지시·점검 O (16시간) 실무자 안전보건총괄책임자 다수 도급, 건설현장 전체 공정 위험 관리 O (직무교육) 협의체 주도 안전보건조정자 건설 고위험 병행 작업 공정 간 충돌 방지 O (직무교육) 총괄과 협업
5. 관련 법령과 실무 팁
📚 관련 법령
법령명주요 조항산업안전보건법 제18조~제20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, 관리감독자 지정 및 의무 시행규칙 제11조~제15조 교육시간 및 지정 기준 명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8조~29조 총괄책임자 및 조정자에 관한 규정 💡 실무 팁
-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지정은 수급인이 아닌 도급인이 수행해야 함
- 관리감독자의 직무교육은 온라인도 가능
- 표준안전작업지침(SSOP)과 연계하면 교육효과 2배
✍️ 마무리하며
작업장에서의 안전은 누구 한 사람의 노력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.
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명확히 인식하고, 법정 교육을 이수하는 것부터 시작입니다.👉 다음 콘텐츠에서는 **“사업장의 안전관리 조직 구성 예시”**를 다룰 예정이에요.
혼자 하기 막막한 사업장 안전관리, 저와 함께 차근차근 준비해봐요!'산업안전보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안전핸드북] 🦺 안전보건표지의 종류, 형태 및 용도 (0) 2025.04.09 [안전핸드북]작업별로 설치해야 하는 안전보건표지 추천 리스트 (0) 2025.04.07 [안전핸드북]산업현장의 필수 요소! 안전보건표지의 모든 것 (0) 2025.04.07 [안전핸드북]산업안전보건법령요지의 게시방법(법령요지 양식첨부) (0) 2025.04.07 [안전핸드북]산업재해 신청 대상과 신청 방법 (0) 2025.04.05